본문 바로가기

독서

돈 공부는 처음이라(1)

1. 삶은 결국 돈의 한 조각이다.

-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는 거짓말

 

돈=인생일까?

무엇보다 돈이 인생의 전부는 결코 아니다.

작은 것에 만족하며 살 수 있다면 부자보다 행복할 수 있다.

 

하지만 세상이 말했던 '작은 만족과 작은 행복'은

그것만 가질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

그것도 가질 수 있는 여유에서 나온다.

 

행복=돈은 아니라고 말할 수 있지만, 

돈을 떼어놓고는 인생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돈을 모른다는 것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당신의 삶을 모른다는 말과 같다.

 

돈을 알게 되면, 돈은 교환의 대상이 아니라 기회의 대상이 된다.

또한, 오직 자신을 위해 일해야 함을 알게 된다.

 

또한, 돈이 돈을 모은다는 사실이 착각임을 알게 된다.

자산 상황에 따라 해야 하는 일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돈을 아는 것이다.

 

 

 

2. 돈의 실체를 마주하다

- 알면 알수록 불편해지는 돈 이야기

 

지금은 더 이상 돈의 가치를 명확하게 구분하거나 판단할 수 없는 시기다.

그렇기에 우리는 더 이상 다른 사람이 하는 과시에 흔들리지 않아도 된다.

 

장기 저금리 저성장 시대에서

국가가 우리를 책임질 수 있는 것도

평생 작은 행복에 만족하며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라면

어떻게 이 난국을 책임지고 해결할 수 있을지

이제는 고민해야 한다.

 

 

 

3. 돈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다.

- 교환 수단이 아닌 기회의 발판으로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는 방법

1) 기존 소득을 늘리기 2) 새로운 소득 만들기

 

돈의 시각에서 소득이란,

벌고 쓰고를 거친 후 당신에게 남은 자본의 전부를 뜻한다.

이것을 '잉여 자금'이라고 부른다.

기존 소득을 늘리려면 지출을 통제하여 잉여 자금을 늘려야 한다.

 

하지만, 잉여 자금을 최대로 늘린다고 한들 급여를 넘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소득을 만들어야 한다.

새로운 소득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소득을 늘려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금을 형성한 후 새로운 소득을 만들어 돈을 쌓아나가는 것

이것이 부자로 갈 수 있는 현실적이고 유일한 길이다.

 

돈을 기회의 대상으로 보는 행위가 새로운 소득을 만드는 결정적 관점이다.

돈을 가지고 어떤 삶을 살아갈 수 있는지 탐구하는 사람

돈을 가지고 어떤 기회를 얻을 수 있는지 공부하는 사람

이런 종류의 사람을 작가는 투자자라고 부른다.

새로운 소득을 만드는 거의 유일한 방법은 투자자가 되어 투자를 하는 것이다.

 

-파이프라인 우화-

갑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생산물보다는 생산수단에 초점을 맞추고 살았다.

생산수단을 확보하는 것이 당신이 지금부터 해야 할 과제다.

 

하지만 투자하는 금액은 당신이 쓴 시간과 정성에 맞춰야 한다.

반드시 돈이 나의 노력보다 높은 위치에 올라서지 못하게 만들고,

많은 돈을 벌고 싶으면 그에 합당한 노력을 할 것을.

당신이 쏟은 노력보다 높은 수익이 나온다면

당신은 반드시 돈의 노예가 된다.

그리고 그 끝에는 반드시 가난이 따라온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모두 동일한 생산수단인 '시간'을 갖는다.

분명 시간을 들여 노력했음에도, 시간이 회사에 귀속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시간을 온전히 생산수단의 가치로 교환하지 못한다.

문제는 우리가 이런 귀속된 방식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기본 생산수단인 '시간'을 온전히 '자기 수단'에 쓰지 않는다.

그렇기에 생산수단에 사용하는 시간의 방향은 온전히 자신을 향해야 한다.

 

계기는 '자신만의 생산수단을 가져야겠다'고 다짐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다.

그 계기는 어디서 오는 걸까?

첫번째는 미래에 대한 고민이다.

두번째는 지금의 자신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의 감각  (0) 2019.12.20
환율전쟁  (0) 2019.12.12
돈 공부는 처음이라(2)  (0) 2019.12.09
[트렌드코리아 2020]을 읽고 든 생각  (0) 2019.12.01